러브버그! 어디서 왔니? 안녕하세요, $%name%$님! 오늘도 쉬즈뷰를 찾아주셔서 감사해요. 사우나 안에 있는 듯한 더위가 기승이지만 다가오는 여름휴가를 생각하며 잘 견뎌보아요!🏝️
여름이면 어김없이 존재감을 뿜뿜하는 곤충들. 그런데 얼마전 서울 은평구와 서대문구에 처음보는 파리가 등장해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어요. 이번 쉬즈뷰는 갑자기 등장한 이 파리의 정체를 자세히 알아봤어요. 그리고 7월 5일부터 시행되었고 앞으로 한국사회의 미래지향점을 밝히는 법이 될 '지속가능발전기본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으니 이번달 쉬즈뷰도 끝까지 봐주세요😀 |
😎오늘의 View ♦️ BUG LIVES MATTER! ♦️ 생물다양성 손실을 막는 중요 Point! - Post2020 GBF를 중심으로 ♦️ 탄소중립과 전기요금 ♦️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을 알아보자! ♦️ 환경뉴스 summary - 온실가스, 중대재해처벌법 ♦️ 풀씨연구회 인터뷰 |
앞뒤가 똑같은 벌레의 등장
서울시 은평구, 서대문구와 고양시 덕양구 일부 지역에 앞뒤가 똑같은 파리가 등장해서 많은 논란이 있었어요. 짝짓기 하는 모습으로 두 마리가 붙어 다녀 '러브버그'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파리. 특별히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지만, 혐오감을 줘 문제가 됐어요. 해마다 반복되는 곤충의 대발생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생물다양성 손실을 막는 중요 Point! Post2020 GBF는 자연과 조화롭게 사는 세계를 위해 '2030년까지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멈추고 자연의 긍정적 회복을 이룬다'는 핵심 임무를 세웠습니다. 생물다양성 손실을 막는 중요 세부 목표를 살펴보겠습니다. |
탄소중립과 전기요금 논란의 중심, 전기요금이 7월부터 올랐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국민들의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전문가, 시민단체들이 전기요금 인상을 주장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의 의미와 전망 한상운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원
「지속가능발전법」이 「지속가능발전기본법」으로 22년 1월 새롭게 제정되어 22년 7월 5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법의 입법목적은 “경제ㆍ사회ㆍ환경의 균형과 조화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포용적 사회 및 기후ㆍ환경 위기 극복을 추구함으로써 현재 세대는 물론 미래 세대가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국가와 지방 나아가 인류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
🎤SHE 뉴스 ✅환경부터 따르면 2년 연속 감소추세를 보이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가 다시 상승추세로 전환되었습니다.
✅ 종사자의 안전, 보건 확보의무를 위해 제정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한 지 5개월도 안되어 개정이 추진 될 예정입니다. |
MDRT 태풍 발생 시 태풍과 함께 동반 될 모든 기상재해를 파악하고 위험도를 제시하는 예보 서비스가 있다면 어떨까요? 'MDRT'는 연구모임을 통해 변화하는 한반도 태풍에 대한 방재 시스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
출산과 출생 정책 연구회 '출산과 출생 정책 연구회'는 보건학을 공부하는 연구자들로 저출산 대응정책이 갖는 보건학점 함의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저출산 장려를 목표로 추진 된 정책의 근거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
SHE's View는 (재)숲과나눔에서 매 월 환경·안전·보건 분야 연구와 활동을 공유하는 전문 뉴스레터입니다. 본 뉴스레터는 기존 숲과나눔 뉴스레터 수신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분, 그 외 숲과나눔과 인연이 닿은 분들께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
SHE's View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 뉴스레터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 SHE's View 구독을 중지하고 싶다면?
|
재단법인 숲과나눔koreashe@koreashe.org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606 금정빌딩 6층, 02-6318-9000 수신거부 Unsubscrib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