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기후위기와 에너지 문제에 대응하는 도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숲과나눔 2021 인재양성 프로그램 최종결과보고서]

 

연구자 : 이경미 (4기 특정주제연구자)

주 제 : 기후위기와 에너지 문제에 대응하는 도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영문명 : The way to revitalize urban communities in response to climate crisis and energy iss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A. 지역공동체 형성

1. 지역공동체의 구성요소와 지역공동체 형성의 개념

2. 지역공동체의 구성요소별 지표

B. 전환역량 형성

1. 에너지 전환의 배경 및 개념

2. 전환 이론과 전환역량 형성의 개념

C. 에너지 자립마을

1. 에너지 자립마을의 개념 및 전개

2. 서울시 에너지 자립마을

가. 정책 추진배경 및 저층주거형, 아파트형 마을의 특성

나. 서울시 지원 전략의 변화

 

Ⅲ. 연구방법

A. 혼합연구방법 : 수렴적 설계

1. 혼합연구방법의 개념

2. 혼합연구방법의 설계 유형

3. 연구분석틀

B. 질적연구

1.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자료의 분석과 엄격성

C. 양적연구

1.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2. 연구대상,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A. 7개 에너지자립마을 사례 내 분석

1. 성대골

2. 산골마을

3. 호박골

4. 행복한마을

5. 성내 코오롱2차 아파트

6. 송파 거여1단지 아파트

7. 강남 신동아 파밀리에 2단지 아파트

B. 7개 에너지 자립마을 사례 간 분석

1. 에너지 자립마을의 지역공동체 형성 정도 : 지표별 분석

가. 지역적 특성 : 주민공간의 조성

나. 사회적 상호작용 : 네트워크 형성과 리더십의 발현

다. 사회적 상호작용 : 주민 간 상호협동

라. 정서적, 인지적 특성 : 친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마을

2. 에너지 자립마을의 지역공동체 형성정도 : 사회 네트워크 분석

가. 네트워크 구성원의 일반적 특성

나. 네트워크 구조와 하위집단의 특성

다. 네트워크 중심성

3. 에너지 자립마을의 전환역량 형성 정도

가. 에너지 자립 정도

나. 전략적 틈새 작동과정

다. 틈새의 레짐 영향과정

4. 에너지 자립마을의 지역공동체와 전환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가. 지역공동체 형성 관련 영향요인

나. 전환역량 형성 관련 영향요인

 

Ⅴ. 결론

A. 연구결과의 요약

1. 리더십의 발현

2. 네트워크의 활성화

3. 신뢰 관계의 구축

4. 공동체의 확장

5. 주민 주도성 강화

B.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1.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의미

2. 지역공동체의 특성에 따른 신뢰 관계 증진의 가능성

3. 지역공동체 유지

4. 주체 형성을 토대로 하는 마을과 지역사회 전환

C.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