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나눔 2024 인재양성 프로그램 최종 결과보고서]
연구자: 김효민(7기 특정주제 연구 장학생)
주 제: 설명되지 못한 고통과 돌봄의 지식정치: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피해 인정 운동을 중심으로
영문명: The Unexplained Suffering and Caring the Politics of Knowledge
[목차]
Ⅰ. 서론
- 문제제기
- 선행연구 검토
1)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에 관한 연구
- 이론적 배경
1) “사물의 정치학”으로서 지식정치
2) “사물의 의회”: “사실의 문제”에서 “우려의 문제”로
3) “우려의 문제”에서 “돌봄의 문제”로
- 연구의 디자인
1) 연구의 분석틀
2) 연구질문
-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Ⅱ. 사실의 심판과 논쟁의 봉쇄
- 사실의 검역
1) 우려의 무마
2) 위험의 사소화
3) 의혹의 저지
- 사실의 심판
1) 피해보상을 통한 논쟁의 종결
2) 엄격한 인과증명과 다른 가정의 배제
Ⅲ. “사물의 의회”의 개회: 인식의 간극과 갈등의 전선
- 개회: 몸과 의학적 지식 간의 간극
1) 지식의 공백: 전문 지식이 설명해주지 못하는 고통
2) 정보의 땜질: 백신 부작용이라는 대안적 인식
- 갈등: 상이한 앎의 방식 간의 마찰
1) 사실의 경합: 방법론에 따라 충돌하는 사실들
2) 질병의 범람: 지식 밖에서 새롭게 목격되는 부작용
Ⅳ. “사물의 의회”의 조정: 간극의 봉합과 재분열
- 과학적 발견을 통한 간극의 봉합
1) 포함: 과학적 연구 수행과 새로운 기준의 생산
2) 분배: 지원제도로 분배된 지식의 불확실성
- 과학의 잉여와 간극의 팽창
1) 연구의 한계: 끊임없이 구성되는 지식의 잠정적 결론
2) 지식의 잠복기: 아직 오지 않은 과학을 기다리는 사이
Ⅴ. “사물의 의회”의 입법: 우려를 돌보는 사실의 건설
- 지식과의 간극에서 형성되는 연대
1) 직시: 과학을 사유하고 대표하는 사람들
2) 단합: 백신을 돌보는 연대의 형성
3) 절단: 백신을 돌보지 않는 이들과의 단절
- 지식과의 간극을 지탱하고 돌보기
1) 이동: 법원으로의 이동과 뒤집어진 사실
2) 가교: 의혹과 사실을 잇고 그 위에 서기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