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s View

[She's View_45] 🧐이재명 정부 환경 공약, 한눈에 보기!

작성자
숲과나눔
작성일
2025-06-12 09:38
조회
1982
9671_2839889_1749617588719228491.png
안녕하세요, $%name%$님!😉 이번 쉬즈뷰 지난 21대 대선에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의 환경 공약과 앞으로의 과제를 짚어보았습니다. 생물다양성 복원, 재생에너지 전환, 교통·순환경제 정책 등 주요 공약에 풀씨행동연구소의 제안이 다수 반영된 점도 확인하실 수 있어요. 환경 정책의 전환점을 함께 만들어가기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과 기대도 담았어요!
6월의 쉬즈뷰😎
공약에서 과제로: 생태전환, 다시 쓰는 국정의 우선순위

✅ 인사소식 : 풀씨행동연구소, 신임 소장에 신재은 캠페이너 선임 

✅ 경향신문 기고 '자전거 친화도시 1010'에 생활 정치의 답이 있다.」

2025, ‘삶을 위한 도시시즌 2가 시작됩니다!

「시민과학 특강-생태계와 다양성 이야기」 강의노트4

풀씨행동연구소, 서호천에 가다!


풀씨연구회 5기를 소개합니다! 기후위기편!

9671_1710133175.png
9671_2839889_1749538902368612831.jpg
출처: 대한민국 정부(korea.net)

공약에서 과제로:

생태전환, 다시 쓰는 국정의 우선순위


– 풀씨행동연구소가 본 이재명 대통령의 환경공약과 향후 과제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풀씨행동연구소는 대선 기간 동안 다양한 환경 공약을 직접 제안하거나 연대를 통해 제안해 왔습니다. 당선과 동시에 취임한 이재명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국가의 핵심 과제로 삼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업 및 에너지 구조 전환을 약속했습니다.


특히 ▶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 탄소중립 산업전환, ▶ 건축물·열 부문/수송부문/농업의 탈탄소, ▶ 탈플라스틱, ▶ 한반도 생물다양성 복원, ▶ 4대강 재자연화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풀씨행동연구소의 제안도 공약에 다수 반영되었는데요. 이재명 대통령의 환경 공약을 함께 살펴보고, 앞으로 5년간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도 생각해보겠습니다.  

9671_2839889_1749617910169560170.jpg
 풀씨행동연구소가 함께하는 기후시민프로젝트와 더불어민주당의 21대 대선 에너지전환정책 협약식 ⓒ기후시민프로젝트

🌳 더많은자연 : 정치가 응답한 첫 번째 생물다양성 복원 약속

이재명 대통령은 '육지와 해양의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확대'와 '국가생물다양성위원회 기능 대폭강화'를 약속했습니다. 기존의 대선 생태부문 공약이 주로 정치적 쟁점이 되어온 개발 현안에 대한 찬반 의견을 밝히는 것이 관례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호구역 확대와 이행 강화 방안 등은 생물다양성 비전을 제시한 첫 대선 공약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담수생태계 복원과 관련한 공약도 제시되었는데요. '4대강 재자연화'와 함께 '노후화로 인해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약속했습니다. 


풀씨행동연구소가 그동안 ‘더많은자연(Nature Positive)’ 이행을 위한 보호구역 확대와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법적 의무화를 제안해온 캠페인과 맞닿아있으며, 대통령의 공식 찬성 입장 표명은 한국 생태정치사에서 의미있는 전환점입니다.

9671_2839889_1749521779883939369.jpg
  

⚡ 재생에너지 전환: 기후에너지부 신설로 힘있는 기후정책

이재명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 공약도 눈여겨볼 지점들이 많습니다. 선진국으로서 책임감있는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2040년까지 석탄발전소 폐쇄, 농가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 개선, 재생에너지 직접구매(PPA)개선,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력망 구축까지 주요 핵심 정책이 빠짐없이 담겼습니다. 


모두 중요한 정책이지만 개별 정책 하나하나가 잠재된 갈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수단이 필요한데요. 풀씨행동연구소는 지역사회와 재생에너지 확대가 모두 지속가능하게 확대되기 위한 핵심 정책을 제안하고 기후시민프로젝트와 함께 제안하고 협약도 진행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과정에서 기후시민프로젝트의 에너지 정책 공개 질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수요 분산을 위한 획기적인 전기 요금 인센티브 도입’, ‘지자체 태양광 할당 의무부여 및 공간계획 도입’, ‘송전망 최소화를 위한 전력 계통 운영 원칙 수립’, ‘2030 재생에너지 목표 재상향 및 예산 확대’ 등에 대해서 찬성 의사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또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전환 정책과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위해서 기후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 기후에너지부 신설도 약속한 바 있습니다. 힘있는 정책 추진을 기대해봐도 되겠죠?

9671_2839889_1749521835085119332.jpg
  

🚴‍♀️ 교통 전환: 교통 수요관리 강화와 자전거 이용활성화 정책 추진

이재명 대통령의 교통 공약은 상대적으로 아쉽습니다. 전기차 보급 확대 및 노후경유차 조기 대·폐차 지원을 통한 수송부문 탈탄소 가속화를 공약하고 있지만, 2021년 출마 당시 강조했던 ‘2040년까지 내연기관차 국내판매 중단’ 목표에 비해 후퇴한 인상이 강합니다.


눈이 가는 정책은 승용차 운행 억제를 통한 교통 수요관리 강화를 약속하고, 보행 환경개선 및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한 자전거 이용활성화 정책 등을 추진하겠다는 대목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자전거 를 이용해 탄소를 감축할 경우 지역화폐로 전환 가능한 포인트 지급도 공약에 포함되었네요.


풀씨행동연구소는 기후위기 시대 자동차 중심의 이동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전환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향후 정부차원의 실질적인 자전거 정책 추진을 위해서 ‘사람중심교통기본법 제정’, ‘자전거 정책 국토교통부 이관’, ‘자전거 예산 및 인센티브 확대’, ‘시민 참여형 자전거 친화도시 플랫폼’ 등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9671_2839889_1749521855487373499.jpg
  

♻️ 순환경제: 풀씨들이 기다리던 종이팩 분리배출 강화

순환경제 공약도 다양하게 담겼습니다. 지난 정부에서 일회용컵 정책 등이 후퇴한 것을 안타까워했던 분들이 반가워할만한 탈플라스틱 로드맵 수립, 일회용품 규제 강화, 재생원료 사용 의무 비율 단계적 확대 등의 정책이 포함되었습니다.


또 풀씨라면 누구나 눈을 반짝이며 시선이 멈추는 공약도 있었습니다. 바로 종이팩 등 재활용 취약품목의 분리배출 및 재활용체계 강화 관련 정책입니다. ‘초록열매 종이팩 컬렉티브'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모아온 종이팩 분리배출 강화 캠페인이 정부 정책으로 무사히 안착하기를 바랍니다. 

9671_2839889_1749522015391828297.png
'초록열매 종이팩 컬렉티브'가 제작한 종이팩 수거함

😀맺으며: 해법 중심의 사회 변화를 시민과 함께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은 기후생태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필수적인 정책을 고루 담고 있습니다. 시민사회가 축적해온 실천과 제안이 정치의 문을 열고, 공약으로 반영된 성과이기도 합니다. 공약이 국정과제가 되고 성공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견인이 필요합니다.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전환은 현장에서 시민과 함께할 때만 현실이 됩니다. 풀씨행동연구소는 정부가 이 약속을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때로는 동반자로서, 때로는 감시자로서 끊임없이 목소리를 내고 연대할 것입니다.


글 | 풀씨행동연구소 신재은 소장
9671_1710226667.png
9671_2839889_1749625420967421461.png
🎉인사소식
풀씨행동연구소 신임 소장으로

신재은 캠페이너가 선임 되었습니다!



신재은 소장은 생물다양성 보전 분야에서 현장과 정책을 아우르는 활동을 펼쳐왔고 최근에는 기후 생태부문의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집중해왔습니다. "문제 해결에 목마른 사람들을 연결하고, 이들의 실천을 뒷받침하는 연구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9671_2839889_1749626431622639341.png
📢경향신문 기고
<자전거 친화도시 1010>에

생활 정치의 답이 있다.




이번 대선은 민주주의 회복의 전환점이자 시민의 평범한 일상을 되찾는 출발점이 됐다. 이제 필요한 것은 정치가 시민의 삶 가까이에서 실질 작동하는 ‘생활 정치’ 회복이다. 

이런 관점에서 자전거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삶을 위한 생활 정치의 도구가 될 수 있다.

9671_2839889_1749604973592908149.png
  📗삶을위한도시 컬렉티브

2025, ‘삶을 위한 도시

시즌 2가 시작됩니다!






2025년의 ‘삶을 위한 도시’ 프로젝트는 녹서를 바탕으로, 시민들과 함께 삶을 위한 도시의 원칙과 방향성을 담은 선언문과 정책 제안서를 만드는 작업에 착수하려고 합니다. 

특히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다양한 현장에서 활동 중인 풀씨팀과 함께 ‘삶을 위한 도시 컬렉티브(삶도시 컬렉티브)’를 구성해 시즌 2의 여정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려 합니다.


9671_2839889_1749520416089064986.png

📖「생태계와 다양성 이야기」강의노트4

내가 만든 시민과학 데이터,

잘 쓰이게 하려면?


여러분은 생물다양성을 조사할 때 무엇부터 시작하시나요? 새를 조사할 경우 조사 구간을 미리 계획하고, 쌍안경으로 생물이 어디 있는지 찾죠. 그 다음 어떤 종이 어디에 몇 마리 있었는지 기록합니다. 그런데 이후승 박사님은 이것이 조사의 마지막 부분이라고 하셨어요. 연구든 모니터링이든, 시작은 ‘내가 왜 조사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고요. 무엇을 알기 위해 조사하는지, 왜 새를/물고기를/곤충을 조사하는지 먼저 질문해보고,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 ‘관찰’을 해보라고 권유했습니다.

9671_2839889_1749616717689615657.png
서호천, 강을잇다 캠페인
보가 사라질 강, 무엇이 달라질까?



지난 5월 14일, 수원 서호천 중보뜰보 인근에 가슴장화를 착용한 5명이 뜰채와 족대를 손에 들고 하천으로 들어갔습니다. 2023년에는 공릉천에서 곡릉2보 철거 이후 수생태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조사했다면, 이번에는 '아직 보가 남아 있는 하천의 생태계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궁금증을 안고 서호천을 찾았어요.
9671_2839889_1749616737011987491.png
풀씨연구회 5기를 소개합니다!
기후위기 분야 연구모임



2025년 한 해 동안 연구모임을 통해 다양한 학술정보를 교류하고 환경, 안전, 보건 분야의 참신한 연구를 이어나갈 5기 30팀 소개합니다.


💚피프틴 

💚환경과담




SHE's View는 (재)숲과나눔에서 매 월 환경·안전·보건 분야 연구와 활동을 공유하는 전문 뉴스레터입니다. 본 뉴스레터는 기존 숲과나눔 뉴스레터 수신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분, 그 외 숲과나눔과 인연이 닿은 분들께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9671_1625607336.png


SHE's View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 뉴스레터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homepage-snsB.pngfacebook-snsB.pngblog-snsB.pnginstagram-snsB.pngyoutube-snsB.png
재단법인 숲과나눔koreashe@koreashe.org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606 금정빌딩 6층, 02-6318-9000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