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학풀씨 활동게시판

활동게시판

진행중인 참여하기의 활동 게시판입니다.

글 내용

[매미는 칫칫] 풀매미의 서식지 특성 및 분포 현황

2021-08-03 11:26
보고서다운로드

○ 팀 구성원 : 허지만, 서민호, 이도영

○ 팀 소개 :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한국의 풀매미를 조사하는 프로젝트를 맡고 있는 매미는 칫칫 팀입니다. 풀매미가 출현하는 5월부터 풀매미가 소멸하는 시기인 8월까지 여러 팀들과 함께 풀매미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Ⅰ. 연구 프로젝트 소개

1. 프로젝트 요약

한국에 사는 풀매미에 대한 서식지 특성과 분포 현황을 제주도를 중점적으로 조사하는,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종의 분포, 행동, 생태 및 서식지의 선호도에 대한 자료는 종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풀매미의 서식지나 분포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고, 풀매미의 대표 서식지인 오염되지 않은 무덤가와 같은 초지는 기후변화, 농약 살포 그리고 개발과 같은 위협에 놓여있습니다. 또한 풀매미는 이동성이 적은 매우 국지적인 서식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향후 풀매미를 보전하는 데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연구가 미흡한 좀매미아과의 다른 두 종에 대해서도 이 연구를 통해 응용할 목적으로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연구 목

연구종인 풀매미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 현황을 조사하여 풀매미 서식지의 취약성을 확인하여 앞으로 좀매미아과들의 보전 연구에 기반이 되는 연구 데이터 체계를 구축 및 보전 방안을 모색하여 한국의 생물 보전 정책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3.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의 분포현황은 매미 울음소리 식별로 조사가 가능한데, 이는 다른 초지성 곤충류와는 다른 소리를 내는 풀매미의 특성 때문이며 이를 이용해 풀매미 서식여부를 확인하며(분포현황), 서식이 확인되면 서식지의 사진을 동서남북 4장을 촬영을 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해 육안으로 기주식물 여부와 서식지의 형태를 확인합니다(서식지 특성). 이후 온습도 및 고도 정보 기록을 합니다.

분포조사의 경우 위성지도로 풀매미가 서식할만한 장소를 파악한 뒤 해당 장소에 직접 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4. 기대효과

기존에 매미라고 생각하면 도심에서 시끄럽게 울어대는 것을 상상할 수 있지만, 작은 초지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특이한 풀매미에 대해 시민들에게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서식지 특성 조사를 통해 해당 종의 취약성에 대해 보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풀매미의 전반적인 서식 특성 파악을 통해 동일 아과 내 다른 종들의 조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동성이 적고 크기가 작은 종은 모든 위협에 특히 취약합니다. 따라서 이번 연구가 풀매미 관찰을 포함해 지구가 인간의 소유가 아닌 모든 생물체들이 공유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알아보는 시간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Ⅱ. 경과보고

1. 연구 프로젝트 경과 (시기 별로 진행 경과 상세히 작성)

1) 시민과학자 대상 교육

○ 5월 18일 기초강연 (Zoom을 이용한 온라인 화상 강연; 제주대학교)

  • 동아사이언스 사내 코로나 확진자 밀접접촉자 발생으로 인해 시민과학자들과 만남은 물론 매니저님들과의 만남 또한 온라인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개요 및 앞으로의 활동할 내용과 같은 시민과학자분들이 진행할 연구 내용들을 전반적으로 설명해드렸습니다.

○ 6월 16일 Zoom을 이용한 미팅

  • 시민과학자분들이 앞으로 실제 진행할 조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어떻게 조사를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전달하였습니다.

○  7월 18일 제주도 서부공설묘지 현장 교육

  • 코로나19의 수도권 4단계 격상 및 제주도의 3단계 격상으로 인하여 현장교육이 취소되었으며, 오픈채팅방을 통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형식과 영상으로 대체되었습니다.

개설된 오픈단톡방

풀매미를 들고 설명하는 연구원.

풀매미의 암수 구분법을 설명하는 부분.

2) 팀 연구회의

  • 20210531 현장조사 및 사전조사 시작 전 매미 서식지 파악을 하며 팀원들과 함께 예산 사용, 앞으로의 계획 등을 회의하였습니다.
  • 20210705~20210714 현장조사 및 사전답사 후 데이터 정리 및 향후 일정 논의하였습니다.
  • 이외에는 코로나 격상으로 인해 대부분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였습니다.

3) 팀 현장답사

네이버 위성지도로 파악한 제주도 약 95 사이트를 대상으로 2021.05.31~2021.07.17의 기간 동안 분포 및 기주식물을 조사하였습니다. *접근이 불가능한 4개의 지역도 미서식으로 표기.

  • 20210531-제주시 풀매미 출현조사(1곳)
  • 20210604-제주시 풀매미 출현조사(2곳)
  • 20210612-평창 풀매미 서식조사
  • 20210619-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2곳)
  • 20210621-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1곳)
  • 20210625-연천 풀매미 서식조사
  • 20210626- 철원 풀매미 서식조사
  • 20210627- 설악 풀매미 서식조사
  • 20210629- 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3곳)
  • 20210705- 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5곳)
  • 20210706-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7곳)
  • 20210708- 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11곳)
  • 20210709- 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14곳)
  • 20210710-서귀포시 풀매미 분포조사(14곳)
  • 20210711- 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1곳)
  • 20210712-제주시, 서귀포시 풀매미 분포조사(19곳)
  • 20210713- 제주시 풀매미 분포조사(5곳)
  • 20210714- 제주시, 서귀포시 풀매미 분포조사(10곳)
  • 20210717- 제주시 풀매미 사전답사(1곳)

서식지 전경

고도 측정

온습도 측정

엉겅퀴에 앉아있는 풀매미

서식지의 다양한 식생. 엉겅퀴와 개망초, 억, 고사리 등 다양한 식물들이 서식하지만, 이중 기주식물은 한정되어있다.

서식지에 가면 흔하게 관찰이 가능한 식물들인 고사리와 억새. 이 두 식물은 크기가 커서 훌륭한 은신처 역할을 해준다.

2. 연구 성과
1) 시민과학자 주요 역할 (본 연구 프로젝트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내용, 지금까지 수행한 결과 요약 등)

4팀이 현재 참여중이며, 현재 마라도와 고성 단 두 곳의 지역이 기록되었습니다.

2) 현재까지 성과 및 한계

현재까지 수집된 데이터 수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풀매미라는 종이 관찰하기가 어려운 대상 종이기 때문입니다. 풀매미의 서식 특성상 서식지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울뿐더러, 서식지 접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탐사기록 참여율이 저조합니다. 현재 조사된 사이트 100곳 가운데 2곳(강원도 고성, 마라도)이 시민과학자가 차지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현재 육지의 경우 풀매미가 거의 소멸하는 시기이며 제주도 또한 소멸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 앞으로의 데이터 수집에 대한 참여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Ⅲ. 중간평가 및 보완사항

1. 중간평가

짧은 풀매미 서식기간 특성상 가장 개체수가 많을 시기로 예산되는 7월 한 달 간을 주로 집중적으로 분포조사 및 현장조사를 이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서식지를 많이 찾을 수 있었으며, 이들이 어떠한 서식 형태를 지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이 수집되었습니다. 또한 본 연구 특성상 시민과학자분들의 데이터 기록이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가 기록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장교육의 부재로 온라인으로 강연도 하고 오픈채팅방도 개설하고 영상도 제작하였지만, 시민분들의 연구 참여도가 부족합니다. 제주도를 제외한 개체들의 기록을 기대하였으나,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지 못해 아쉽고 추가 데이터 수집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 보완사항

고도 정보도 함께 올려야 하는데 사진과 동영상만 게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많은 데이터 양이 필요합니다.

Ⅳ. 향후 계획

현재까지 제주도 내 94개의 지역과 본토의 3지역을 직접 조사하였으며, 그 외 육지 1곳, 제주도 1곳은 시민과학자들이 직접 조사를 마친 지역입니다. 풀매미의 소멸시기가 가까워진 만큼 더 이상 현장조사로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기는 힘들 것 같아 현재까지 조사된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을 할 예정이며, 제주도의 경우 풀매미 소멸시기가 늦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사를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지역별로 개체 소멸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시민과학자 분들에게 혹시라도 잔존하는 개체 탐색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8월: 풀매미의 소멸시기 조사 및 연구의 방향성 모색 및 잔존개체 탐색
  • 9월: 데이터 분석
  • 10월: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고서 작성 및 정리 후 팀원들에게 연구에 대해 공지.
  • 11월: 시민과학풀씨 프로젝트 마무리 및 수집된 데이터 활용 방안 모색.
이 게시글이 좋으셨다면 like!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