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학풀씨 활동게시판

활동게시판

진행중인 참여하기의 활동 게시판입니다.

글 내용

[차다현] 제주도 용천수 수질오염도에 따른 미끈망둑속(genus Luciogobius) 분포와 개체수의 상관관계

2022-07-29 16:00

○ 팀 구성원 : 차다현
○ 팀 소개 :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에서 어류를 공부하고 있는 학부생 차다현입니다.

 

Ⅰ. 연구 프로젝트 소개

1. 프로젝트 요약

제주도 용천수의 제주도 용천수의 수질오염도(pH, NO3-N, DO 등)에 따른 미끈망둑속 어류의 분포와 개체수를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연구목표

미끈망둑속(genus Luciogobius)은 전 세계에 16종으로 우리나라에는 가는미끈망둑(L. elongatus), 큰미끈망둑(L. grandis), 미끈망둑(L. guttatus), 꼬마망둑(L. koma), 주홍미끈망둑 (L. pallidus), 납작미끈망둑 (L. platycephalus), 왜미끈망둑(L. saikaiensis)의 7종이 알려져 있다. (Korea journal of Ichthyology 김익수 등 2005) 한국동물분류학회 조현근 등 2014). 이 중 제주도에는 미끈망둑, 가는미끈망둑, 납작미끈망둑, 주홍미끈망둑 4종이 서식하고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3종도 서식한다. (미기록종 추정: 남방미끈망둑(가칭) (Luciogobius ryukyuensis), 검정미끈망둑(가칭) (Luciogobius martellii) 따라서 제주도 용천수의 수질오염도에 따라 미끈망둑속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체장, 를 측정하여 미끈망둑속이 용천수 오염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려고 한다. 이에 따라 용천수 오염이 생태계에 미치는 피해의 예시가 되어 시민사회에 다시 한번 경각심을 일으키려고 한다.

 

3. 연구방법

  • 그림 1에 따르면 제주도의 지하수는 서부와 동부 쪽으로 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2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제주도 내의 가축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때 가축두수는 제주도 서쪽(한경, 한림)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 그림 3과 그림 4는 2009년과 2018년의 질산성질소 농도분포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의 질산성질소 농도분포도를 참고하면 가축두수가 늘어난 제주도 서쪽 지하수가 질산성질소가 많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은 서부지역의 양돈장 밀집과 양돈액비살포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주대학교 김선아 2021)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질산성질소 농도분포와 미끈망둑의 개체수와 분포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5개의 현장조사 장소를 선정하였다. 질산성질소 농도분포가 높게 나타난 서쪽 지역의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의 협재 해수욕장을 사이트1로 잡을 예정이다. 2019년도에 미끈망둑이 채집된 기록이 있는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의 하모해수욕장 (모슬포해수욕장) 사이트2로 잡을 예정이다. 상대적으로 질산성농도 분포가 적게 증가하고 2022년 1월 19일 미끈망둑 속 4종과 미기록종 2종을 알현한 제주도 남쪽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예동에 위치한 논짓물을 사이트3, 제주도 동부는 미끈망둑 출현이 자주 보고되는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종달리 종달리 해수욕장을 사이트4, 제주도 북부는 지하수에서 분출된 용천수가 흐르는 하천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을 사이트5로 잡을 예정이다. 조사 일정은 장소의 분포를 고려해 2박 3일 그리고 감귤재배 의한 오염, 계절별 수량의 차이에 의한 농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5월, 8월, 10월을 조사하여 계절에 따른 분포를 분석할 예정이다.

 


[그림 1] 제주도 지하수 보존 형태(자료 : 제주 물박물관)

 

[그림 2] 제주도 가축 사육두수(자료 : 정보공개청구 제주시, 서귀포시)

 

[그림 3] 2009년 질산성질소 농도분포도자료: 보건환경연구원 제29권 (수질연구과)

 

[그림 4] 2018년 질산성질소 농도분포도자료: 보건환경연구원 제 29권 (수질연구과)

 

4. 기대효과

제주도 용천수 문제가 생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보여주는 예시가 될 수 있다. 또한 시민 과학자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시민사회에 알려지지도 않고 사라져가는 미끈망둑속을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제주도 미끈망둑속의 생물다양성을 지키는데 큰 효과를 볼 것으로 본다. 인하대학교 김병기, 한경남 2014에 언급된 서식처의 특징에 의해 오염에 크게 영향을 받는 미끈망둑의 특성을 증명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이번 연구의 계기로 앞으로 다양한 방면으로 지하수, 용천수 오염에 따른 환경, 생태가 받는 피해를 연구하고 관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Ⅱ. 경과보고

1. 연구 프로젝트 경과 (시기 별로 진행 경과 상세히 작성)

1) 시민과학자 대상 교육

  • 4/27 프로젝트 설명 및 질의응답
  • 6/10 미끈망둑 채집 동영상 제작 및 공유 - 미끈망둑 채집 가이드 https://youtu.be/1wngIcIfXQc

 

2) 팀 연구회의

  • 3/15~4/28 미끈망둑 사육 수조 설치 및 제작 계획 : 수조 (60*30*45), 산호사, 스펀지 여과기, 펌프, 해수염 구입 및 설치

[미끈망둑 사육 수조]

  • 5/1~5/20 제주도 1차 현장 연구 조사 계획
  • 6/1 제주도 1차 현장 연구 정리
  • 7/1~7/6 제주도 2차 현장 연구 조사 계획

 

3) 팀 현장답사

  • 5/26~5/29까지 제주도 전역을 탐사하였다.
  • 협재 해수욕장 인근인 선인장 자생지, 문서천 조사를 하였지만, 수량이 부족하여 확인된 어종이 없다.
  • 모슬포 해수욕장은 강으로 소상 중인 뱀장어 유생과 검정망둑, 숭어 등 다양한 어종이 발견되었지만 미끈망둑속은 발견할 수 없었다.
  • 논짓물 사이트에선 미끈망둑속(genus Luciogobius)을 14개체 채집하였다.
  • 종달리 해수욕장에서는 미기록종 Luciogobius martellii를 2개체를 채집을 하였다.

[문서천]

 

[선인장 자생지]

 


[모슬포해수욕장]

 

[논짓물 수질측정]

 

[종달리해수욕장]

 

2. 연구 성과

1) 시민과학자 주요 역할

미끈망둑속의 분포를 밝히는 것이 시민과학자의 주요 역할이다. 하지만 시민과학자와 영상을 통한 교육은 있었지만, 직접 채집하는 법을 익히는 현장 교육이 8/3, 8/4일에 예정되어 있어서 아직 뚜렷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이번 현장 교육을 계기로 시민과학자들이 미끈망둑속의 분포에 많은 공헌이 있으면 좋겠다.

 

2) 현재까지 성과 및 한계

  • 제주도 1차 조사(5/26~5/30) 동안 제주 서쪽 지역은 7사이트, 남쪽 3사이트, 동쪽 3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총 53관찰의 서식지유형분포는 해양(조간대) 약 45%, 하천 약 55%로 나타났으며 종은 총 18종이 기록됐다.

[제주도 1차 조사]

 

[서식지유형별 분포]

 

  • 종 목록은 다음과 같다. 미끈망둑속은 미끈망둑 (Luciogobiusguttatus) 와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검정미끈망둑 (Luciogobius martellii) 이 채집이 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미끈망둑속은 17개체이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예동에 위치한 논짓물에서 14개체,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종달리 종달리 해수욕장에서 2개체를 채집하였다. 이 때 논짓물에서는 미끈망둑(Luciogobiusguttatus) 9개체 검정미끈망둑 (Luciogobius martellii)가 5개체가 채집되었고, 종달리 해수욕장에는 2개체 모두 검정미끈망둑 (Luciogobius martellii) 이였다.

[종 목록]

 

  • 아래 개체는 제주도 하예동 논짓물에서 채집한 미끈망둑(Luciogobiusguttatus)이며, 온몸에 하얀색 반점이 산재하여 있고, 가슴지느러미에 유리 연조가 있다.

[미끈망둑(Luciogobiusguttatus)]

 

[미끈망둑의 유리연조]

 

  • 아래 개체는 제주도 하예동 논짓물에서 채집한 Luciogobius martellii 이다. 미끈망둑과 다르게 온몸에는 하얀색 반점 대신 검은색의 작은 반점이 산재한다. 미끈망둑과 마찬가지로 유리 연조가 있다.

[미기록종(Luciogobius martellii)]

 

[Luciogobius martellii 유리연조]

 

  • 수질 측정은 YSI pro 다항목 수질측정기로 DO(용존산소량), 수온, 염도, pH를 측정하였고 각 항목과의 미끈망둑 개체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볼 예정이다. 또한 용천수의 양, 수심, 하상 등을 조사하여서 이와 관련된 개체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볼려고 한다.

[논짓물 야외장부]

 

[종달리 해수욕장 야외장부]

 

 

Ⅲ. 중간평가 및 보완사항

1. 중간평가

짧은 조사 기간에 의해 많은 사이트를 조사하지 못했다. 용천수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아 유의미한 데이터의 양이 부족하다. 다만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검정미끈망둑을 발견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일이다.

 

2. 보완사항

기존에 조사하던 사이트를 벗어나서 많은 사이트를 조사하고, 용천수를 잘 찾아야겠다. 그리고 시민과학자들과 협업을 진행해야겠다.

 

 

Ⅳ. 향후 계획

  • 제주도 2차 조사(8/1~8/5) 예정 : 내도교, 마수교, 봉천2교 / 금성교 – 금성천, 순두천교, 차귀포 선착장 / 창고천-황개천교, 갯갓다리, 논짓물 / 공천포, 논짓물
  • 2차 조사 기간 중 8/3, 8/4 하예동 논짓물에서 시민과학자 현장 교육을 실행한다. 그 후 3차 조사를 9월에 진행하고 데이터를 종합하여 각 항목과 개체수, 분포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예정이다.
이 게시글이 좋으셨다면 like!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