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씨 활동게시판

[세모] 제철×내철 : 제철공부하다 내가 철들어요

11기
작성자
숲과나눔
작성일
2024-06-23 10:49
조회
856

1. 해결하고자 하는 난제와 아이디어, 그 아이디어를 실험해볼 활동내용

해마다 봄꽃은 더욱더 빨리 피고, 열대야는 더욱더 빨리 찾아옵니다. 폭염과 폭우, 빈번한 태풍과 같이 자연이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지금, 안타깝게도 우리가 느끼는 경각심은 저마다 다릅니다.

기존에 반복되어 왔던 단순한 두괄식 캠페인을 벗어나 자연을 관찰하고 공부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깨달아 결론에 다다른다면 어떨까요? 자연의 달력인 \\\'24절기\\\'를 배워 자연의 순환을 알고 그에 맞는 \\\'제철\\\'이 되려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하는지 실천방안을 논의하고 행동하고자 합니다.

실제로, 인간이 자연에서 얻은 자원을 순환하기 위해 \\\'나무-종이-재생종이-퇴비화\\\' 과정을 직접 실행하고 재생종이로 절기달력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고 싶습니다.

 

2. 현재까지 활동 경과보고

1) 경과보고

세부활동

활동내용

모집홍보

○ 온라인 포스터 제작, 네이버 블로그 및 인스타그램 게시

\"\"  \"\"

* 온라인 모집으로 인원이 마감되어 오프라인 홍보는 취소하였습니다.

여는 날

(오리엔테이션)

○ 일시 : 202446() 13:00 _청명(淸明) 다다음날

○ 장소 : 연수세종문고 모임공간

○ 인원 : 21(어린이 13, 엄마 8)

○ 사업소개 및 참여자 인사

○ 활동도서 배부, 독서연계 일정 공유

  \"\" \"\"

어린이와 엄마, 각자의 수준에 맞는 24절기 도서를 배부하여 제철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

*엄마들 간의 자체 독서모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 재활용 골판지로 제철×내철 플랜카드 만들기

대여공간인 동네서점에서 책을 묶을 때 사용하고 버려지는 댐지(골판지)를 제공받아 아이들이 직접 활동명을 꾸미고 색칠하여 플랜카드를 만들었습니다.

자연순환:

절기로 배우는 사계절

○ 일시 : 2024420() 13:00 _곡우(穀雨) 다음날

○ 장소 : 연수세종문고 모임공간, 인근 공원, (개인별)시장 및 마트

○ 인원 : 21(어린이 13, 엄마 8)

○ 강사 : 김은경(방송작가, 독서지도사)

24절기 전반에 대한 이해와 절기 공부

· <한눈에 펼쳐보는 24절기 그림책> 함께 읽기

· 절기동요 24절기송♪ 듣고 불러보기

· 활동지의 절기퀴즈 맞춰보기(빈칸 채우기)

· 내가 정의한 절기의 뜻은?

_ 1년을 24개로 나눈 것, 계절에 맞는 적당한 때, 사계절의 가족들, 각 계절의 옷을 그려보는 등 다양한 답변이 나왔습니다.

○ 곡우(穀雨 : 씨앗비가 내리는 날) 절기에 맞게 수업 내내 비가 내리다가 잠깐 그친 틈을 타 인근 공원에 가서 꽃을 관찰하고 씨앗비를 맞으며 신나게 뛰어 놀았습니다. 날씨 탓에 바깥에서 관찰일지를 작성하기 어려워 숙제로 대체하였습니다.

○ 개인별로 엄마와 아이가 함께 시장이나 마트에 들러 제철 과일과 채소, 생선을 알아보고 독후활동지를 작성했습니다.

자연순환:

절기로 배우는 사계절

여름

○ 일시 : 2024615() 13:00 _망종(芒種)과 하지(夏至) 가운데

○ 장소 : 인천 송도 이음텃밭

○ 인원 : 14(어린이 9, 엄마 5)

○ 강사 : 김은경(방송작가, 독서지도사)

여름절기 공부

· <한눈에 펼쳐보는 24절기 그림책> 함께 읽기

· 절기와 제철인 것 짝맞추기 카드게임

· 텃밭에서 제철채소 수확하기 : 상추, 치커리, 고수, , 민트 등

· 텃밭 생물들 관찰하기 : 달팽이, 민달팽이, 무당벌레, 개구리, 콩벌레, 나비애벌레, 방아깨비 등

· 이음텃밭 견학 및 체험활동 : 토종호밀의 까끄라기를 만져보며 여름절기 망종의 자가 까끄라기 자라는 것을 배우고 모두가 놀랐습니다. 호밀을 털고 난 줄기를 잘라 천연빨대로 만들어 식구 수 대로 챙겨왔습니다. 꽃양귀비가 시들고 남은 수술부분에 가족 얼굴을 그리는 체험도 했습니다.

○ 제철밥상 : 수도시설이 없는 이음텃밭 특성 상 수확한 채소를 즉석에서 먹을 수가 없어 제철채소 도시락을 미리 주문했습니다. 샐러리가 들어간 샌드위치, 오이가득김밥, 깻잎쌈 주먹밥 등 초여름의 텃밭과 잘 어울리는 제철밥상이었습니다.

 

2) 참여자 생생소감

○ 24절기에 대한 관점 변화

절기는 옛것이고 시대에 뒤처지는 구분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절기만큼 과학적이고 자연스러운 구분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단순하게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만 생각했었는데 제철내철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 계절을 더 깊이있게 느낍니다.”

절기의 변화가 우리 주변을 둘러싼 자연으로, 환경으로 시선이 옮겨져 지구의 모든 것들이 유기적으로 이어져 있음을 알 수 있어요.”

○ 제철을 챙기는 아이와 내 모습

아이가 텃밭을 견학한 후 제철음식과 로컬푸드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먹기 힘들어하던 채소를 함께 요리하여 먹고, 식재료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철을 배우며 계절이 어떻게 무르익는지, 가로수와 공원의 꽃을 관찰하며 알아갑니다. 봄이나 여름처럼 한 단어가 아닌 이팝나무가 피는 때, 두릅이 익어가고 매실청을 담그는 때등 계절을 촘촘하고 깊이 이해하게 되었어요.”

엄마보다 아이가 먼저 절기를 챙깁니다. 단어가 어렵고 생소할텐데도 절기가 바뀔 때마다 알려주고 책을 찾아 설명해줘요.”

○ 제철공부하다 내가 철들어요(일상의 변화)

아이가 자발적으로 교내 환경동아리에 들어갔어요. 일상생활에서도 생태 그리기와 일기쓰기, 환경그림책 만들기 등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제철내철에서 나눠준 24절기 그림책을 차 안에서 매일 봅니다. 서로 절기 퀴즈를 맞추며 절기를 알아가고 있어요. 핸드폰만 보던 시간이 바깥의 제철풍경을 찾아보는 시간으로 바뀌었습니다.”

아이들이 절기를 배움으로써 지구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절기보다 빠른 날씨의 변화와 식물들을 관찰하며 우리가 지구를 아껴야 제철에 맞는 생활을 누릴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3) 참여후기 SNS게시글

https://blog.naver.com/uhlaa1129/223411158638

https://blog.naver.com/uhlaa1129/223464739723

https://blog.naver.com/uhlaa1129/223478183453

https://blog.naver.com/yeonsusejong/223406424885

https://blog.naver.com/yeonsusejong/223414498792

 

3. 앞으로의 활동 계획

세부활동

활동내용

자원순환:

재생종이

학교

○ 일시 : 2024722()~25() _대서(大暑)

○ 장소 : 연수청량공원, 연수세종문고, 재활용 수거함, 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

○ 인원 : 21(어린이 13, 엄마 8)

○ 강사 : 이금자(펄프제지 전문가)

○ 종이가 되기 전, 살아있는 나무 만나기(침엽수vs활엽수, 섬유장 관찰)

○ 종이 제작과정, 자원순환과정 알기

○ 버려진 종이를 수거하여 직접 분해, 세척, 건조하여 종이로 되살리기

○ 업사이클에코센터 견학으로 자연에서 얻은 자원의 순환과정 탐방

+ 자투리 종이의 퇴비화 실험

주의점

방학기간 중 연속으로 진행되는 일정이라 최대한 많은 인원이 모일 수 있는 시간대로 조정 불가피

폭염의 날씨에 외부활동 예정으로 건강 및 안전사고 유의

개선점

이웃에게 나눌 절기달력에 필요한 재생종이의 크기, 디자인 등 구체적인 제작회의 필요

기대할 점

6월에 방문한 이음텃밭의 협조로 종이, 플라스틱, 비닐의 퇴비화 실험 가능, 자연에 이로운 자원을 직접 확인할 기회

자연순환:

절기로 배우는 사계절

가을과 겨울

○ 일시 : 202497~21() 10:00 _백로(白露)와 추분(秋分)

○ 장소 : 인천대공원 반디논, 연수세종문고 모임공간

○ 인원 : 21(어린이 13, 엄마 8)

○ 강사 : 김은경(방송작가, 독서지도사)

○ 지역 논 벼베기 봉사활동 참여

○ 우리가 만든 재생종이로 절기달력 만들기

주의점

인천대공원 반디논의 경우 환경단체(인천환경연합) 관할이므로 참여일정 사전조율이 반드시 필요

재생종이로 만든 절기달력이 또다른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받은 이웃들이 만족할 만한 심미성과 지속가능성 고려

기대할 점

도심에서 논의 벼베기는 쉽게 할 수 없는 경험이며 모내기부터 수확까지 절기의 흐름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기회

닫는 날

(평가회)

○ 일시 : 2024928() 10:00 _추분(秋分)과 한로(寒露) 사이

○ 장소 : 연수세종문고 모임공간

○ 인원 : 21(어린이 13, 엄마 8)

○ 제철×내철 활동평가회 : 독후활동 감상나눔 및 문집만들기, 절기달력 나눔, 향후 지속방향 논의

 

4. (필수) 활동 사진

1) 여는 날 : 오리엔테이션

\"\"  \"\"

 

2) 자연순환 : 입춘부터 곡우까지, 자라는 계절 \\\'봄\\\'

\"\"  \"\"

\"\"  \"\"

 

3) 자연순환 : 입하부터 대서까지, 무성한 계절 \\\'여름\\\'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