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내용
CJT(Climate Justice Trackers)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의 계층화에 따라 ‘기후정의’ 담론이 등장하였으나 여전히 추상적으로 여겨짐에 따라 기후정의의 개념을 구체적 사례를 바탕으로 확산하고자 함
ESC 환경교육·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의 미디어 콘텐츠 사례 분석
FW. LAB (Flexible Work/ Life and Balance Lab) 다양한 일자리 환경의 변화 속에서, 유연근무제도가 근로자의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도모할 방안을 모색
Health Demo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와 네팔에 남겨진 가족을 대상으로 초국가적인 이주노동자 가정의 건강 실태를 분석하여 저출산·고령화 회의 지속가능한 외국인 노동력 확보를 위한 국제보건 전략 연구
Health Socialist Club 사회정의와 형평의 관점에서 인구집단 건강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각자의 연구 주제와 내용을 일반 시민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글을 쓰고 자료를 만드는 지식 전환(knowledge translation)을 위한 공동 학습과 훈련을 목표로 하는 연구모임
MZ(문제제기)가 장애인 건강권을 구한다 우리나라는 2017년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나, 성과는 미미함. 이는 장애인 당사자적 관점에 입각한 건강권 담론이 부재하기 때문이며, 당사자적 관점과 전문가적 관점이 교류하여 새로운 담론을 생산해내는 과정이 필요함.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다양한 학문적 배경의 구성원이 연구모임을 통해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S.E.S(Safety Education in Social welfare) 연구모임 보건 복지분야 종사자 안전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고찰을 통한 안전역량 강화 연구
SWIFT 여성 청년 연구자이자 환경 위기 당사자의 시각에서, ‘녹색 복지(Green Social Work)’에 대한 문헌연구 및 정책, 실천현장 리뷰를 통해 미래사회를 위한 대안 제시
公明E林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클 사람들을 위한 연구. 공정한 에너지 전환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고 연구질문을 찾아봄
글로벌 남반구 대안 연구회 글로벌 경제성장의 관점에서 벗어난 글로벌 남반구 지역의 대안적 삶에 대한 논의를 공간, 종족, 젠더, 사회적 경제, 문화, ESG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위기 이후 시대에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법을 모색
기업 산업보건의 네트워크 기업의 산업보건 관리에서 전임으로 근무하는 의사의 다양한 역할과 필요한 자원에 대한 논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건강형평 연구회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나아가 기후변화에 취약한 인구의 건강 불형평 완화를 위해 특히 중저소득국 맥락에 초점을 두고 적응 방안모색
기후위기 커뮤니케이터s 기후변화 관련 이슈의 심각성을 효과적으로 소통할 방법을 연구하고 워크숍을 통해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
모비딕 기존의 ‘모비딕’ 활동에서 비거니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분석였으며 이어서 비거니즘 가치 확산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육서와 연구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 대상으로 비거니즘 교육서를 제작
모.지.학교 연구회 학교에서 시작하는 탄소중립 도전기로 교육이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미래의 학교상을 구체화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학교와 지역이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학교의 모델을 확산시키고 ESG 경영 시스템을 학교에 도입할 방안 모색
미세먼지와 시민행동 연구회(미시연) 고농도일의 예방 행동과 평상시 저감 행동을 구분해 고농도일의 예방 행동뿐 아니라 평상시의 미세먼지 저감 행동의 진작을 위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
서울씨, RE100 하실래요? 지역 정부의 에너지 전환의 현황과 과제를 ‘서울형 RE100’ 연구분석
수달수달 도시하천에서 수달(L.lutra)의 서식 여부를 환경 DNA 조사방법으로 평가. 멸종위기종 조사 방법론으로써 환경 DNA의 잠재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수달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확인하고자 함
숨탄것들 국내 생물 종 중 장애인을 비하하는 용어가 쓰인 종들을 직접 조사, 탐구하고 관련 이름에 대한 의견 제시 및 시민인식 증진을 주목적으로 하며, 생물종명의 개칭과정 모색
슬기로운 자원생활 의료폐기물 처리의 지속가능한 방안 연구 및 정책 제언
시민과학 가치탐구 모임 국내 주요사례를 통한 시민과학 활성화 방안 연구
언론과환경포럼 솔루션 저널리즘 방법론과 다양한 사례들은 찾아 공유함으로써 기자들의 보도를 바꿔나가고자 함. 환경·보건·기후변화·에너지 분야 난제들을 다루는 언론 보도가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함께 고민하고 다른 방식으로 기사를 쓰고자 노력했던 각자의 경험을 나누면서 바람직한 솔루션 저널리즘 사례모색
우리나라 정부 예산으로 바라보는 기후위기(예바기) 전국 7개 광역 지자체별 기후위기 예산을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여 지자체별 환경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및 정책규모, 흐름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함
인터퓨즈(Inter-fuge) 관계플랫폼 구축으로 난민/이주와 사회적 건강 도모
전환사회포럼 젊은 세대와의 대화를 통해, 우리 사회의 미래를 논의하고자 함
평화나무 남북관계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환경, 보건 분야 협력의 단절을 보완하고자 접경 국가의 협력 등 국제협력 사례를 분석하여 한반도 환경 및 보건 분야 협력의 지속가능성 확보
홀로그램 취약 1인 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적 환경조성 방안을 연구하고자 함
환경(Milieu)-되기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과 신유물론적 관점에서 책을 읽고 학습하는 연구모임
환경계획과 도시계획 통합 연구모임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의 토대가 될 도시계획과 환경계획의 통합제도가 정권교체로 인해 재대로 시행도 못해본 채, 유명무실화되거나 악용될 여지가 있어 본 제도의 모니터링방법과 활용방안을 활동가 눈높이에 맞춰 제시하고자 함
환경불평등 연구회 정치행위자 중심의 시각으로 환경불평등 이슈 분해